<aside>
💡
사업을 운영하다 보면 강사비를 지급하게 되죠. 강사비·재료비·교통비·자문비. 복잡해요. 강사비의 안전한 지급을 위해 필요한 몇 가지 공부를 해봅시다!
</aside>
강사비 기준은 누가 정하나요?🤷♂️
-
강사비 기준은 민간위탁인 청년센터의 경우 **<사무편람>**에 있어요.
※ ‘민간위탁’으로 청년센터가 운영된다면 <사무편람>은 필수예요!
-
그렇다면 <사무편람>에 적힌 강사비 기준은 누가 어떻게 책정하나요?
보통 「인재개발원 강사수당 및 원고료 지급기준」을 기준으로 삼거나 차용해서 <사무편람>에 넣어요. 필요에 따라서 센터마다 기준을 다르게 넣을 수 있고요.
<aside>
강사수당을 기관별로 비교해서 살펴볼게요.🕵️♀️
- 위에 소개한 세 곳의 강사수당을 비교해 볼게요.
- 강사수당 및 원고료 등 지급기준(이미지)
- (행정안전부) 가장 세밀하게 나뉘어요. 특급 2개, 일반 5급으로 나뉘어져 있어요.
- (서울시) 전체 3등급으로 나뉘어 있어 운영하는 곳의 재량이 더 필요해요.
- (경기도) 일반 등급이 3개로 나뉘어져 있고, 특강이 3개 등급으로 나뉘어 있어요.
서울청년센터 중 한 곳의 사무편람을 기준으로 다시 볼게요!👓
- 2024년에 개정한 <사무편람>의 일부예요. ‘서울시 인재개발원’ 기준을 가장 먼저 검토했지만, 기준이 너무 넓어서 강사 경력별로 강사비에 차등을 주기가 어려웠어요. 그래서 ‘지방자치 인재개발원’ 기준을 많이 차용한 걸 볼 수 있어요.
- 「서울청년센터 ○○ 사무편람」 강사비 예시